[HTML] 2021.01.07. day_51 태그사용 2. _ 이미지, 링크 태그, frame(frame, iframe)

2021. 1. 7. 16:51Web_Front-end/HTML

2021/01/07 - [Web/HTML] - [HTML] 2021.01.06. day_50 태그사용 1. _ 줄변경, 글자, 글꼴, 특수문자,heading, 목록, 선긋기 태그


[ 태그의 사용 ]

[ 6. 이미지 ]

<img src = "이미지경로" width = "넓이" height = "높이" border = "테두리선 두께"
        title = "풍선도움말" alt = "이미지가로딩되지 않았을 때 보여줄 텍스트">

- 이미지경로
1. 절대경로 : c:/경로/파일명. : 사용하지 않는다
2. 상대경로 : 이미지의 자원을 사용하는 html파일이 제공되는 URL을 기준으로 설정하는 경로
기준 : HTML 파일의 위치
     http://localhost/html_prj/day0107/test.html

    - 이미지가 HTML 파일과 같은 위치에 존재할 때
      : 경로를 사용하지 않는다 - 파일명만 기술
      예) <img src = "a.png"/>

    http://localhost/html_prj/day0107/images/a.png
    - 이미지가 HTML 파일의 하위폴더에 존재할 때
      : 하위경로부터 기술한다
      예) <img src = "images/a.png"/>
    
    http://localhost/html_prj/common/images/a.png 
    - 이미지가 HTML 파일과 다른 위치에 존재할 때
      : 상위경로로 이동(..)하여 경로를 기술
      예) <img src = "../common/images/a.png"/>

상대경로의 
장점 : 경로를 짧게 기술할 수 있다
단점 : HTML파일의 위치가 변경되면 모든 경로를 그 위치에 맞게 변경해야한다
   
상위경로로 이동하는방법 :  .. 
3. URL : 이미지가 제공되는 모든 경로를 사용하는 방식
<img src = " http://localhost/html_prj/day0107/images/a.png">

URL의 
장점 : HTML파일의 위차가 변경되더라도 경로 수정을 할 필요가 없다
단점 : 경로를 길게 작성해야한다


<map> <area> //하단에서 따로 다룰 예정(이미지와 링크를 같이)

[ 이미지태그 _ 1. 이미지 나타내기]
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이미지 연결</title>
</head>
<body>
<!-- 절대경로 : 사용하지 않는다<br/>
<img src="C:\dev\workspace\html_prj\WebContent\day0107\images\jj.png"/> -->

<h1>상대경로</h1><br/>
<ul>
	<li>
	이미지가 HTML과 같은 위치에 존재<br>
	<img src = "google.png"/>
	</li>
	<li>
	이미지가 HTML 파일의 하위폴더에 존재할 때<br>
	<img src = "images/daum.png"/>
	</li>
	<li>
	이미지가 HTML 파일과 다른 위치에 존재할 때<br>
	<img src = "../common/images/google.png"/>
	</li>
</ul>


<h1>URL</h1><br/>
<img src="http://localhost/html_prj/common/images/google.png">



</body>
</html>

[ 이미지태그 _ 2. 이미지 태그속성 활용해보기 ]
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이미지태그 속성</title>
</head>
<body>

원본이미지<br/>
<img src="google.png"/>
<br>크기 변경<br/>
<img src="google.png" width = "150"/>
<br>높이 변경<br/>
<img src="google.png" height = "30"/>
<br>크기, 높이 변경<br/>
<img src="google.png" width = "80" height = "130"/>
<br>테두리설정<br/>
<img src="google.png" width = "80" height = "130" border = "10"/>
<br>TooltipText 설정_title<br/>
<img src="google1.png" width = "80" height = "130" title = "구글" />
<br>TooltipText 설정_title + alt<br/>
<img src="google1.png" width = "80" height = "130" title = "구글" alt = "메인으로 이동"/>



</body>
</html>

좌 : chrome 우 : internet explorer

 


 

[ 7. 링크 ]

다른 HTML과 연결할 때 사용

사용법)
<a href = "이동할페이지의 경로" title = "풍선도움말" target = "보여줄 페이지가 띄워질 frame위치">
이동할페이지의 경로 : (절대경로_안씀), 상대경로, URL

1. 상대경로
  - 이동할 페이지가 같은위치에 존재할 때
 <a href = "이동할페이지파일명">  
 <a href = "a.html">

  - 이동할 페이지가 하위폴더에 존재할 때
  <a href = "경로명/이동할페이지파일명">
  <a href = "test/a.html">

  - 이동할 페이지가 다른위치에 존재할 때
  <a href = "..올라갈갯수../이동페이지폴더명/이동페이지파일명">
  <a href = "../temp/a.html">

2. URL : 다른 웹 서버에 존재하는 페이지로도 이동가능
  <a href = "http://localhost/html_prj/test/a.html">

이 소스파일들을 활용해서 연습해보자

<a> 태그 속성 _ 1. 경로 : html
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링크 : 다른 페이지와 연결</title>
</head>
<body>
	<h2>1. 경로_html</h2>
	<h3>상대경로</h3>
<ul>
	<li><a href = "img.html">같은 경로의 파일과 연결</a></li>
	<li><a href = "images/link_test.html">하위 경로의 파일과 연결</a></li>
	<li><a href = "../day0106/font.html">다른 위치의 파일과 연결</a></li>	
</ul>
	<h3>URL</h3>
<ul>
	<li><a href = "http://localhost/html_prj/day0106/markup.html">마크업태그 연습 파일로 이동</a></li>
	<li><a href = "http://daum.net">daum 연결</a></li>
	<li><a href = "http://naver.com">naver 연결</a></li>
	<li><a href = "http://google.com">google 연결</a></li>
	<li><a href = "https://github.com/ojdkbuild/ojdkbuild">open JDK 다운로드 연결</a></li>
</ul>
</body>
</html>


<a> 태그 속성 _ 2. 경로 :  이미지, target
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링크 : 다른 페이지와 연결</title>
</head>

<h2>2. 경로_이미지, target</h2>
<a href = "http://daum.net" title = "daum으로 이동"><img src="images/daum.png" width = "80" border = "0"></a>
<!-- image border를 없애는 이유 : internet explorer 8 에서는 자동으로 테두리가 생긴다 -->

<a href = "http://daum.net" target = "_new">새창(새탭)으로 daum 열기</a>


</body>
</html>


[ frame / iframe 이란 ? ]

- frame : 하나의 창(탭)에서 여러개의 HTML파일을 동시에 로딩하여 보여줄 떄 사용
   - frame, iframe 을 제공한다
   - frame : 웹브라우저 전체를 나눠서 페이지를 보여줄 때 사용 (페이지의 전체 디자인을 설정할 때)
       - (속도의 이유로 요즘은 div를 사용한다)

   - iframe : 웹브라우저의 일부분을 나눠서 페이지를 보여줄 때 사용
       - (아직 사용중)

http://daum.net 의 구조 

[ iframe ]

사용법)
 <iframe src = "프레임에서 최초로 보여줄 페이지" name = "이름"
  width = "넓이" height = "높이" frameborder = "테두리선 두께" scrolling = "스크롤바의 여부"></iframe>

frameborder = "테두리선 두께"
frameborder = "0" 으로 설정하면, 테두리가 사라진다 / 작성하지 않으면 기본테두리 생성

scrolling = "스크롤바의 여부"
"no" : 스크롤바가 생기지 않고, 내용이 크기보다 많으면 잘린다 / "auto" : 생길만큼의 크기라면 생긴다

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iframe의 사용</title>
</head>
<body>

외부 HTML 
<br>
	<iframe src = "list.html" width = "500" height = "200"></iframe>	
<br>
외부 HTML 
<br>
	<iframe src = "list.html" width = "500" height = "200" frameborder = "0"
	scrolling = "no"></iframe>	
<br>
외부 HTML 
<br>
	<iframe src = "list.html" width = "500" height = "200" frameborder = "0"
	scrolling = "auto"></iframe>	
<br>


</body>
</html>
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iframe의 사용</title>
</head>
<body>

외부 HTML 
<br>
	<iframe src = "list.html" width = "500" height = "500" frameborder = "0"
	scrolling = "auto"  name = "ifr"></iframe>	
<br>
<a href = "img.html" target = "ifr">이미지연습</a>
<br>
외부 HTML 

</body>
</html>


<a> 태그 속성 _ 3. 경로 :  이미지, target _ 메일, 전화걸기

- target : HTML을 보여줄 frame이 존재하지 않으면 새창(새탭)으로 HTML을 보여줄 수 있다
- 메일보내기 : <a href = mailto:받을사람의메일주소>클릭할이름</a>
- 전화걸기 : <a href = "tel:전화번호">이름</a>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title>링크 : 다른 페이지와 연결</title>
</head>

<body>

<h2>3. 경로_이미지, target을 사용하여 메일, 전화걸기</h2>
<br>
<a href = "mailto:jjiny@tistory.com"><img src="images/mail.png" width = "100" title = "관리자에게 mail"></a>
<br>
<a href = "tel:01012345678"><img src="images/mail.png" width = "100" title = "전화걸기"></a>


</body>
</html>


 

 

 

 

 


복합적인 연습해보기

2021/01/07 - [Web/HTML] - [HTML] 2021.01.07. day_51 태그복합사용 연습) 이미지 + 링크태그 사용