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eb_Back-end/Oracle(28)
-
[Oracle] 2020.12.24. day_44 synonym 생성, 삭제, 권한부여, view(단순,복합 view), with check option(단순 view DML)
◎ synonym synonym 테이블의 별명, 테이블의 이름을 설정해주는 것 alias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이해 테이블을 다른 이름으로 호출할 수 있는 객체 권한이 설정된 계정만 synonym을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계정으로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계정이 달라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유저의 객체(테이블, 뷰, 프로시저, 함수, 패키지, 시퀀스 같은)를 참조할 때 많이 사용 다른 유저의 객체를 사용할 때 유저의 이름, 객체의 실제이름을 사용하는데 그 두개를 감춤으로 database 보안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▼ 시노님 생성문법 생성문법) create synonym 시노님명 for 테이블명; ▼ 시노님 삭제문법 drop synonym 시노님명; ◎ 권한 권한의 종류 시스템권한 dba_role_priv..
2020.12.24 -
[Oracle] 2020.12.24. day_44 index (unique index, non unique index, bitmap index, composit index)
◎ index index 모든 계정에서 만들 수 있다 검색을 빠르게 하기 위해 생성하는 객체 java의 thread와 비슷하게 이해할 수 있다 ( 잘 쓰면 좋지만 못쓰면 느려지는 점 ) 자동인덱스, 수동인덱스를 지원한다 자동인덱스 : Oracle에서 자동으로 생성을 해주는 인덱스 테이블에 primary key, unique 제약을 설정하면 자동으로 생성 수동인덱스 : 개발자가 직접 생성하는 인덱스 full scan : 레코드가 적으면 풀스캔이 빠르다 (위에서 아래로 검사,조회) user_indexes 에서, 생성된 인덱스를 확인할 수 있다 1. unique index, 2. non unique index, 3. bitmap index, 4. composit index 를 지원한다 database는 내용에..
2020.12.24 -
[Oracle] 2020.12.23. day_43 백업, 복구 / sequence
◎ 백업 exp.exe 사용 모든 계정은 백업을 수행할 수 있다 DOS 창에서 수행 도움말 보기 : exp help=y 테이블만 백업 : exp userid=계정명/비번 tables=백업할테이블,,,,,,, file=백업파일경로 모든 Object 백업 : exp userid=계정명/비번 full=y file=백업파일경로 백업파일은 확장자를 .dmp 로 설정 ( .ora 를 사용했었는데 요즘 안씀 ) ◎ 복구 imp.exe 사용 모든 계정은 복구를 수행할 수 있다 DOS 창에서 수행 같은 이름의 객체가 존재하면 해당 객체는 복구되지 않는다 도움말 보기 : exp help=y 테이블만 복구 : imp userid=계정명/비번 tables=복구할테이블,,, file=복구할파일경로 모든 Object 복구 : i..
2020.12.23 -
[Oracle] 2020.12.23. day_43 alter, CRUD, grant, revoke
◎ alter alter DDL 테이블 조작, 계정처리, 제약사항을 처리할 수 있다 테이블 조작 컬럼의 데이터형 변경 (또는 데이터형의 크기) , 변경컬럼 추가 , 컬럼삭제 제약사항 계정처리 ○ 1. 테이블 조작 1. 컬럼의 데이터형 변경 _ modify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데이터형까지 변경가능하다 레코드가 존재하면 동일 데이터형의 크기만 변경가능하다 문법 ) 1. 컬럼의 데이터형 변경 alter table 테이블명 modify 컬럼명 데이터형(크기) 컬럼단위 제약사항 2. 컬럼 추가 _ add 추가되는 컬럼은 제일 마지막에만 추가가능 문법) 2. 컬럼추가 alter table 테이블명 add 컬럼명 데이터형(크기) 컬럼단위 제약사항 3. 컬럼 삭제 _ drop column 문법) 3. 컬럼삭제 a..
2020.12.23 -
[Oracle] 2020.12.23. day_43 exists _ 결과가 있어야 정산작업 수행하는 기능
◎ exists exists 서브쿼리에서 조회결과가 없을 때 바깥 서브쿼리의 실행을 막기 where절 exists 함수를 사용하면 조회결과가 있을 때에만 외부쿼리가 실행된다 exists 함수내의 쿼리 결과를 사용하지 않고, 조회레코드가 있는지 없는지만 판단한다 문법) select from where exits (select ,,,, ) exists 사용해보기
2020.12.23 -
[Oracle] 2020.12.22. day_42 join( inner join, outer join, self join )
◎ join join 정규화가 진행되어 서로다른 테이블에 분산저장된 데이터를 모아서 조회할 때 사용 종류 : inner join, outer join, self join, cross join (효율성문제로 쓰지 않는다) 이 있다 join조건을 잘못 설정하면 모든 레코드를 곱하여 조회되는 'Cartesian Product'이 발생할 수 있다 Cartesian Product 발생 : 조회된 결과의 레코드를 사용할 수 없다 ANSI 문법과 Oracle 문법 두가지를 사용할 수 있다 driving table 선정에 따라 join속도가 달라진다 driving table : 조인의 기준이 되는 테이블 ANSI 문법 대부분의 database에서 사용가능 , 문법이 길다 Oracle 문법 짧은 문법길이 ○▶▶▶▶▶ 1..
2020.12.22 -
[Oracle] 2020.12.22. day_42 제약사항 _ check, not null _ default(제약사항은 아님)
-user_constraints : 테이블에 설정된 제약사항 확인 dictionary -user_cons_columns : 테이블에 설정된 제약사항 컬럼 확인 dictionary -user_tab_cols : 테이블에 존재하는 컬럼명, 데이터형, 크기, default 등 확인 dictionary ◎ 제약사항 제약사항 개발자(DBA : DataBase Administrator)가 원하는 값만 받기위해 테이블에 설정하는 것 종류 primary key,foreign key, unique, check, not null // default (제약사항은 아님) 테이블에 설정된 제약사항은 user_constraints (DD) 테이블에서 확인할 수 있다 DD : DataBase Dictionary 의 줄임말, 정보저..
2020.12.22 -
[Oracle] 2020.12.22. day_42 제약사항_foreign key(외래키, 참조키), unique
◎ 제약사항 제약사항 개발자(DBA : DataBase Administrator)가 원하는 값만 받기위해 테이블에 설정하는 것 종류 primary key, foreign key, unique, check, not null // default (제약사항은 아님) 테이블에 설정된 제약사항은 user_constraints (DD) 테이블에서 확인할 수 있다 DD : DataBase Dictionary 의 줄임말, 정보저장용 테이블(DBMS에서 사용하는) 테이블단위 제약사항과 컬럼단위 제약사항 alter문으로 설정할 수 있다 테이블단위 제약사항 : 테이블 생성시 컬럼의 정의가 종료되고 나서 정의하는 제약사항 (table level constraint) 컬럼단위 제약사항 : 테이블 생성시 컬럼의 정의 뒤에 붙여서..
2020.12.22 -
[Oracle] 2020.12.21. day_41 제약사항_foreign key(외래키, 참조키), ERD (Entity Relation Diagram)
◎ 제약사항 제약사항 개발자(DBA : DataBase Administrator)가 원하는 값만 받기위해 테이블에 설정하는 것 종류 primary key, foreign key, unique, check, not null // default (제약사항은 아님) 테이블에 설정된 제약사항은 user_constraints (DD) 테이블에서 확인할 수 있다 DD : DataBase Dictionary 의 줄임말, 정보저장용 테이블(DBMS에서 사용하는) 테이블단위 제약사항과 컬럼단위 제약사항 alter문으로 설정할 수 있다 테이블단위 제약사항 : 테이블 생성시 컬럼의 정의가 종료되고 나서 정의하는 제약사항 (table level constraint) 컬럼단위 제약사항 : 테이블 생성시 컬럼의 정의 뒤에 붙여서..
2020.12.21 -
[Oracle] 2020.12.21. day_41 제약사항 _primary key(PK)
◎ 제약사항 제약사항 개발자(DBA : DataBase Administrator)가 원하는 값만 받기위해 테이블에 설정하는 것 종류 primary key, foreign key, unique, check, not null // default (제약사항은 아님) 테이블에 설정된 제약사항은 user_constraints (DD) 테이블에서 확인할 수 있다 DD : DataBase Dictionary 의 줄임말, 정보저장용 테이블(DBMS에서 사용하는) 테이블단위 제약사항과 컬럼단위 제약사항 alter문으로 설정할 수 있다 테이블단위 제약사항 : 테이블 생성시 컬럼의 정의가 종료되고 나서 정의하는 제약사항 (table level constraint) 컬럼단위 제약사항 : 테이블 생성시 컬럼의 정의 뒤에 붙여서..
2020.12.21